- SSD 복사
- XSS방어
- 맥 오라클설치
- 바코드 생성하기
- 하드 마이그레이션
- javascript 바코드 생성
- jquery 바코드
- 하드 윈도우 복사
- javascript 유효성체크
- ASP.Net Core 404
- 말줄임표시
- 파일업로드 유효성체크
- ViewData
- django 엑셀불러오기
- 바코드 스캔하기
- php 캐쉬제거
- TempData
- 파일업로드 체크
- XSS PHP
- asp.net Select
- asp.net dropdownlist
- ViewBag
- 404에러페이지
- asp.net core Select
- javascript redirection
- 타임피커
- 강제이동
- Mac Oracle
- jquery 바코드생성
- javascript 바코드스캔
웹개발자의 기지개
var varUA = navigator.userAgent.toLowerCase(); // userAgent 값을 받아서, 소문자형태로 불러온다. if (varUA.match('android') != null) { // 안드로이드일때 처리하는 부분 } else if (varUA.match("iphone")>-1||varUA.match("ipad")>-1||varUA.match("ipod")>-1) { // IOS 계열일때 처리하는 부분 } 다른 방식의 소스뽑기도 가능한데, 위의 소스가 가장 간단하여 정리해 봤다 ^^
아주 아주 기초인데. 매번 깜박깜박해서 정리해 본다.~ 시스템등록정보 > 고급 > 환경변수 > 시스템변수 1. 새로만들기, CLASSPATH (변수이름 ) , %classpath%;. (변수값-기존의 classpath에 다가 마침표는 어떠한 디렉토리에서도 실행가능하게 하겠다.) 2. 새로만들기 JAVA_HOME (변수이름) , C:Program FilesJavajdk1.7.0_03 (변수값) 3. Path 편집 %JAVA_HOME%bin;%SystemRoot%system32;%SystemRoot%;%SystemRoot%System32Wbem; 등등 이나오는데 이중에서 제일앞쪽에 위치시킨다. %JAVA_HOME%bin;% 가 이부분이다. 4. 테스트 . 실행창에서 아무 디렉토리에서 javac -versio..
a.replace( /(s*)/g, "" ); a 문자열내에 모든 공백은 다 제거시킨다. jquery 로 할때에는, $.trim(a);
font 를 css 파일내에 연동해보자. 1. 오픈된 구글 연결 주소로 간단히 import 시켜서 연결할수가 있다. @import url(http://fonts.googleapis.com/earlyaccess/nanumgothic.css); 보통 css 파일내에 상단에 위치시키는데 문제는 로딩도 만만치 않게 걸린다는 점이다. (비추) 2. 폰트 파일들을 /font/ 폴더에 위치시키고 이를 연동하는 방식 @font-face{ font-family:"Nanum Gothic"; src:url('/font/NanumGothic.eot'); src:url('/font/NanumGothic.eot?#iefix') format('embedded-opentype'), url('/font/NanumGothic.woff'..
eval 함수의 사용법을 꼭 익히시기 바랍니다. 실제로 웹프로그램시에 eval 의 쓰임새는 다양합니다. head 부 자바스크립트 코딩부에 다음과 같이 사용자정의 함수를 하나 만듭니다. function gogo(gap) { document.f.name.value = eval("document.f.student"+ gap +".value"); } body 부에서 코딩에서, 이름 : 학생1 : 학생2 : 일단 결과를 보시면 '학생1 이름확인' 버튼을 클릭하면 student1 의 value 값을 뿌려줍니다. 그리고 마찬가지로 '학생2 이름확인' 버튼을 클릭하면 student2 의 value 값을 뿌려준답니다. 즉, student1 ,2 ,3 이런식으로 숫자하나로 매겨지는 폼값이 있을때 이를 자바스크립트 함수로 ..
우편번호를 AJAX 로 구현하는 작업중에 div 태그부분에 주소내용이 나와야 하는데, 그 내용이 길어질 경우 스크롤 되게끔 해야 했다. ^^; 그래서 아래와 같은 소스를 추가하였다. 참 유용하니 꼭 알아 두자 ^^
안녕하세요,HTML5 기반 모바일 & 하이브리드앱 과정입니다. 위의 결과 화면처럼 전광판처럼 스크롤되어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움직이며, 영역을 벗어나는 내용은 화면에 나타나지 않는다. 위의 window.onload 는 body 태그의 onload 속성과 같은 것인데, 웹표준형태로 보다 깔끔하게 코딩하였다.